24060번: 알고리즘 수업 - 병합 정렬 1 (acmicpc.net)
24060번: 알고리즘 수업 - 병합 정렬 1
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(5 ≤ N ≤ 500,000), 저장 횟수 K(1 ≤ K ≤ 108)가 주어진다. 다음 줄에 서로 다른 배열 A의 원소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(1 ≤ Ai ≤ 109)
www.acmicpc.net
- 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가 저장된 배열 A가 있다.
- 병합 정렬로 배열 A를 오름차순 정렬할 경우 배열 A에 k번째 저장되는 수를 구하기
- 저장 횟수가 k보다 작으면 -1 출력
풀이 과정
병합 정렬 알고리즘
- 배열의 요솟수가 2개 이상인 경우
- 배열의 앞부분을 병합 정렬로 정렬
- 배열의 뒷부분을 병합 정렬로 정렬
- 배열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병합
- 주어진 리스트를 절반으로 분할하여 부분 리스트로 나눔(Divide : 분할)
- 해당 부분리스트의 길이가 1이 아니라면 1번 과정을 되풀이
- 인접한 부분리스트끼리 정렬하여 합침 (Conqure: 정복)
병합 정렬 의사 코드
merge_sort(A[p..r]) { # A[p..r]을 오름차순 정렬한다.
if (p < r) then {
q <- ⌊(p + r) / 2⌋; # q는 p, r의 중간 지점
merge_sort(A, p, q); # 전반부 정렬
merge_sort(A, q + 1, r); # 후반부 정렬
merge(A, p, q, r); # 병합
}
}
# A[p..q]와 A[q+1..r]을 병합하여 A[p..r]을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로 만든다.
# A[p..q]와 A[q+1..r]은 이미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.
merge(A[], p, q, r) {
i <- p; j <- q + 1; t <- 1;
while (i ≤ q and j ≤ r) {
if (A[i] ≤ A[j])
then tmp[t++] <- A[i++]; # tmp[t] <- A[i]; t++; i++;
else tmp[t++] <- A[j++]; # tmp[t] <- A[j]; t++; j++;
}
while (i ≤ q) # 왼쪽 배열 부분이 남은 경우
tmp[t++] <- A[i++];
while (j ≤ r) # 오른쪽 배열 부분이 남은 경우
tmp[t++] <- A[j++];
i <- p; t <- 1;
while (i ≤ r) # 결과를 A[p..r]에 저장
A[i++] <- tmp[t++];
}
풀이 과정
[BAEKJOON] 24060 알고리즘 수업 - 병합 정렬 1 (tistory.com)
[BAEKJOON] 24060 알고리즘 수업 - 병합 정렬 1
병합정렬 병합정렬은 정렬 알고리즘중 하나이다. 병합 정렬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 참조 하면 된다.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5%A9%EB%B3%91_%EC%A0%95%EB%A0%AC 합병 정렬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
jih3508.tistory.com
- 배열 A에 저장하는 횟수가 k가 되면 병합 정렬을 종료
- merge가 호출하는 횟수가 k가 되면 호출횟수와 저장되는 숫자를 출력
- 배열 A, temp, count, 결과값을 전역 변수로 설정
- 병합정렬 코드 작성 후 k번째 저장되는 수를 구하기 위해서 merge 함수의 병합 정렬 결과에 count 증가와 count와 k번째 수가 일치할 경우 k번째 수를 저장
- 재귀 호출 시 중간에 k번째 수를 찾을 경우 리턴하는 코드 추가
정답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BufferedWrit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count = 0;
static int tmp[];
static int A[];
static int result = -1;
static int k;
public static void merge_sort(int[] A,int p,int r) {
if(count>k) return;
if(p<r) {
int q= (p+r)/2;
merge_sort(A,p,q); //앞부분 병합 정렬
merge_sort(A,q+1,r); //뒷부분 병합 정렬
merge(A,p,q,r); //병합
}
}
public static void merge(int[] A,int p,int q,int r) {
int i=p;
int j=q+1;
int t=0;
while(i<=q && j<=r) {
if(A[i]<=A[j]) {
tmp[t++] = A[i++];
}else {
tmp[t++]=A[j++];
}
}
while(i<=q) {
tmp[t++]=A[i++];
}
while(j<=r) {
tmp[t++]=A[j++];
}
i=p;t=0;
while(i<=r) {
count++;
if(count == k)
{
result = tmp[t];
break;
}
A[i++] = tmp[t++];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
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k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A = new int[n];
for(int i=0; i<n; i++)
{
A[i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}
tmp = new int[n];
merge_sort(A,0,n-1);
bw.write(result+"");
bw.flush();
bw.close();
}
}
'Java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백준 2447 별 찍기 - 10 (0) | 2024.02.20 |
---|---|
[JAVA] 백준 4779 칸토어 집합 (0) | 2024.02.18 |
[JAVA] 백준 25501 재귀의 귀재 (0) | 2024.02.17 |
[JAVA] 백준 10870 피보나치 수 5 (0) | 2024.02.17 |
[JAVA] 백준 20920 영단어 암기는 괴로워 (1) | 2024.0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