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

(501)
5-1장 배열 (2) 1. 2차원 정방 행렬 배열 - 2차원 배열 : 가로 및 세로 방향의 2차원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배열 - 2차원 정방 행렬 : 모든 행의 길이가 같은 배열 a[0][0] a[0][1] a[0][2] a[0][3] a[1][0] a[1][1] a[1][2] a[1][3] a[2][0] a[2][1] a[2][2] a[2][3] - 자료형 [] [] 변수명 int[][] a; double[][] b; String[][] c; - 대괄호 안에는 배열의 인덱스가 들어감 - 세로 방향으로 숫자가 늘어나는 행(row)번호와 가로 방향으로 숫자가 늘어나는 열(column)번호로 구성 - 메모리는 2차원 데이터를 바로 저장할 수 없다!! - 2차원 데이터를 1차원 데이터들로 나눠 저장 - 2차원 배열은 1차원 배열을..
5-1장 배열(1) 1. 배열이란? - 동일한 자료형을 묶어 저장하는 참조 자료형 - 생성할 때 크기 지정 - 한 번 크기를 지정하면 절대 변경할 수 없음 2. 배열 생성하기 1) 배열 선언하기 -자료형[]변수명 int[] a; //int 자료형만 저장 가능한 배열 double[] a; //double 자료형만 저장 가능한 배열 String[] a; //String 자료형만 저장 가능한 배열 - 배열을 선언하면 스택 메모리에 변수의 공간만 생성하고, 공간 안은 비운채로 둠 - 아직 배열의 실제 데이터인 객체를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 - 스택 메모리에 위치하고 있는 참조 자료형 변수의 빈공간을 초기화할 때는 null값 사용 - null값 : 힙 메모리의 위치(번지)를 가리키고 있지 않다. 2) 힙 메모리에 배열의 객체 생성하기..
4-2장 제어 키워드 1. break 키워드 - 반복문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반복문을 탈출하는 데 사용 - 반복문 안에 break만 단독으로 사용된 예 for(int i=0;i for 문의 반복횟수와 상관없이 단 하나의 출력만 실행 - 반복문 안에 if문과 함께 break가 사용된 예 for(int i=0; i
4-1장 제어문 (2) 반복문 1. for 반복 제어문 - 실행 구문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반복 제어문 - 반복 횟수가 정해질 때 주로 사용 - for문의 구성 for(초기식 ; 조건식 ; 증감식) { 실행 구문; //조건식이 true인 동안 실행 } - 초기식 : for문이 시작될 때 딱 한번 실행되고 다시는 실행되지 않음. for문안에서만 사용할 변수는 주로 초기식에서 초기화 - 조건식 : 실행 구문으로 들어가기 위한 유일한 출입구로, 이 조건식의 결과가 true가 나오는 동안은 실행구문을 계속 반복 : 만일 조건식이 false가 나오면 더 이상 반복을 수행하지 않고 for문을 빠져나감 - 증감식 : for문의 실행 구문이 모두 수행된 후 닫힌 중괄호(})를 만나면 다음 번 반복을 위해 다시 이동하는 위치로 매회 반복이 수행될때 ..
4-1장 제어문 (1) 조건문 1. if 선택 제어문 - 조건식에 따라 실행문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선택 제어문 1) if 단일 구문 - 조건식 = true일때 중괄호 안 실행, 조건식 = false일때 중괄호 안 실행 안함 - if 단일 구문의 예 int a =3; if(a ==3) { System.out.println("출력1"); //실행됨 } boolean b = false; if(b) { System.out.println("출력2"); //실행 안됨 } 2) if - else 구문 - if 구문의 조건식이 true일때 if 구문의 중괄호 실행, false일떄 else 구문의 중괄호 실행 - if - else 구문의 예 int a,b; a=5; b=0; if(a>5) { b=10; //실행 안됨 } else { b=20; /..
3-2장 연산자의 연산 방법 1. 산술 연산자와 증감 연산자 1) 산술 연산자 - 나머지 연산자(%) = 모듈로(modulo)연산 = 나머지를 수행한 이후의 나머지 2) 증감 연산자 - 전위형 - 변수 앞에 붙음 - 다른 모든 명령보다 먼저 실행 - 후위형 -변수 뒤에 붙음 - 가장 나중에 실행 - 전위형, 후위형 증감 연산자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할 때int a =3; ++a; //a 값에 1을 더하라는 명령 1개(전위형, 후위형 차이 없음) System.out.println(a); //4 int b=3; b++; // b 값에 1을 더하라는 명령 1개(전위형, 후위형 차이 없음) System.out.println(b); //4- 전위형, 후위형 증감 연산자가 서로 다른 결과를 출력할 때 int a1 =3; int b1=++a1; ..
3-1장 연산자의 종류 1. 연산 결과가 특정 값이 나옴 - 산술, 증감, 비트 ,시프트 연산자 2. 연산결과가 참(true)와 거짓(false) 중 하나 - 비교, 논리 연산자 3. 값을 반환하는 것이 아니라 대입하는 의미 - 대입, 삼항 연산자 자료형 연산 기호 기능 결과 산술 연산자 + - * / % 사칙 연산 및 나머지 연산 값 증감 연산자 ++ -- 값이 1씩 증가 및 감소 비트 연산자 & | ~ ^ 비트 AND, OR, NOT, XOR 시프트 연산자 >> >> 비트 단위 이동 비교 연산자 = == != 값의 크기 비교 참 또는 거짓 논리 연산자 && || ! ^ 논리 AND, OR, NOT, XOR 대입 연산자 = += -= *= /= &= |= >>= >= 산술 연산 결과의 대입 실행 삼항 연산자 (참 또는..
2-4장 기본 자료형 간의 타입 변환 1.타입변환(type casting) -boolean을 제외한 기본 자료형 7개는 자료형을 서로 변환 가능 -자료형 A 변수명 = (자료형 A) 값 - 숫자뒤에 L,F 붙여 각각 long, float 타입변환 - 타입 변환을 수행할 때는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나 종류가 달라지므로 값이 변할 수 있음 - 2가지 타입변환 방법 package TypeCasting; public class TypeCasting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캐스팅 방법 1:자료형 int value1=(int)5.3; long value2=(long)10; float value3=(float)5.8; double value4=(double)16; System.out.print..